TOP
검색

연구정보

연구정보
연구정보 > 사업현황 >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이공분야)

사업현황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이공분야)
3P(Pollinator, Plant Production) Meta network 연구(Research development on 3P(Pollinator, Plant Production) Meta network)

사업개요

국립경국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이하 연구소)는 2018년 6월 교육부로부터 이공계대학 중점연구소로 지정되어, 3P 화분매개 네트워크 분야, P (Pollinator; 꿀벌 및 화분매개 곤충), P (Plant: 야생식물과 농작물), P (Product: 농산물과 기능성 산물)의 친환경 생산성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국제적 화분매개 분야 선도 연구소를 지향하며, 경북 북부의 농업 혁신 및 생물자원의 고부가가치 산업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사업필요성

  • 야생 종자식물의 90%, 전세계 100대 작물의 75%가 동물 화분매개에 의존함 (Klein et al., 2007, Science)
  • 국내 주요 작물생산(24조원)에 미치는 화분매개체의 경제적 가치는 6.6조원으로 추정(Jung, 2008, 2015)
  • 화분매개자의 보호, 활용 및 부가가치 확대를 위한 장애요인 해결 필요
  • 국내 양봉 및 곤충산업 그리고 과채류 산업의 신성장동력 개척 필요

중점사업계획

  • 화분매개 보호-증진-강화 기작 및 관리 기작 연구
    외래성 위해요소 연구 : 침입 외래 병해충이 억제, 피해 방지 및 관리 기술 개발
    토착 위해요소 연구 : 토착 꿀벌 병해충의 억제 및 관리 기술 개발: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제, 중국가시응애 동시 방제, 말벌류의 피해 억제 및 봉군 방어 능력 향상
    우수 여왕벌 번식 및 꿀벌 봉군 관리 기술 개발: 여왕벌 생산 조건 및 특수 사료의 개발, 여왕벌의 교미비행 조절 통한 우수 계통 유지 기술
    농약 등 위해 요소 관리: 농약 안정성 분석, 농약 중독 저감 기술 개발, 농약의 아치사영향 연구
    영양 요구 기반 꿀벌 사료 개발 : 영양성분에 따른 꿀벌 먹이활동 선호성 연구를 통한 고품질 사료 개발 기초 마련 및 먹이 이화학 성분의 변화 모니터링
    화분매개자 보호 : 화분매개서식처의 생태적 영향 - 화분매개자 양분공급과 서식처 제공을 위한 서식처 조작을 할 경우 화분매개자 밀도 및 그로 인한 작물 생산에 변화 모니터링
  • 작물화분매개 네트워크 증진-강화 및 작물생산 증진연구
    작물화분매개의 작물생산 증진연구 : 3P 온실을 통한 작물 재배 환경 및 화분매개 생산성 증대를 위한 metadata 생성 및 화분매개, 엽면적지수(LAI)를 달리하여 토마토의 생산성 증대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식물-화분매개 곤충 유래 기능성 향상 연구 : 국내 생산되는 다양한 화분(도토리화분, 다래화분, 잡화분, 송화분, 부들화분 등), 곤충자원의 유용 성분 및 유용생리활성들을 평가. 밀원식물인 산수국의 면역증진활성을 연구 및 벌꿀의 항염증활성 및 조골세포화 파골세포 영향, 미백활성 분석
    우수 화분매개 산물 품질 인증: 벌꿀 품질 인증 및 유래 곤충 판별 기술, 로얄제리 성분 분석 기술 개발, 화분의 안전성 검사 기술 개발

기대효과

  • 꿀벌 병해충의 안전 관리를 통한 양봉 농가의 소득 증대
  • 꿀벌응애 친환경 방제의 개발 및 제품화를 통한 신규 청년 일자리 창출
  • 화분매개자 보호를 위한 서식처 조성 및 꽃밭의 생태적 역할 구명 및 화분매개 친화형 사과생산 모델 개발은 통한 지역 농업 혁신 및 농가 소득 증대
  • 영양요구 기반 꿀벌사료의 개발을 통한 화분매개자 보호 육성
  • 작물생산성 증진을 위한 meta data의 집적 및 최적 화분매개조건 구명
  • 식물-화분매개 유래 산물의 기능성 구명 및 신소재 개발을 통한 유관 산업 파급

담당자 연락처

성명 권지영 부서/직위
전화/팩스 054-820-6229 / 054-820-6891 이메일 jykwon7746@naver.com